슬라브 옥상, 지붕 누수 진단 방법, 누수 원인
1. 방수층 파손, 콘크리트 중성화 및 부식
옥상에 올라갔는데 사진과 같이
방수층이 터지고 갈라져 있다면
그 사이로 누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아주 큽니다.
방수층이 터지는 이유는
뚜렷한 사계절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특성상
건물이 온도에 의해 수축팽창을 반복하여
방수층이 터지고 갈라지게 됩니다.
또한, 파손된 방수층사이로
산성인 빗물이 그대로 스며들어
콘크리트 중성화가 진행되어
노후화가 더 빨라지게 되며
노후화된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겨
누수를 가속화시키기 때문에
빠른 보수를 해주어야 합니다.
2. 드레인 주변 구배 불량
옥상에 올라갔는데 물이 빠지지 못하고 고여있나요?
그렇다면 구배가 잘못되어 있어
물이 드레인(배수구)으로 빠지지 못한 것입니다.
이렇게 고인 물은 방수층을 분해하여
방수층을 들뜨게 하고 터지고 갈라지게 되며,
그사이로 누수가 발생되게 됩니다.
여기서 해결방법은 크게 2가지입니다.
1. 구배를 다시 하여 방수작업을 진행하거나
2. 구배 작업을 하지 않아도 물고임에 대응이 가능한
특수 시트 공법을 사용하여 방수작업을 진행하는 것입니다.
*구배란?
물이 배수구쪽으로 흐를 수 있게
경사를 주는 작업을 말합니다.
3. 각종 모서리와 곡각 지점
각종 모서리와 곡각지점은
균일하고 견고한 방수층 형성이 어렵고
균열이 잦아 누수의 가장 취약 부위입니다.
옥상에 올라가시면 대부분 이 부분에
실리콘으로 임시 보수를 해 놓으신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강한 자외선에 약해 금방 터지는 실리콘은
말 그대로 임시 보수이기 때문에
반영구적인 방수 보강작업이 필요합니다.
4. 기타 구조물 이음
기타 구조물의 경우 다 굳은 콘크리트 위로
또 다른 콘크리트를 추가로 얹는 구조물입니다.
하나의 구조물이 아니기 때문에
아파트 내부 생활 진동이나 건물의 수축팽창에 의한
균열발생 시 기타 구조물과 바닥의
이음부 부분부터 방수층이 터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거동과 진동에도 견디는
방수보강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
슬라브 옥상 누수진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궁금하고 여러운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연락주세요!